생활용수 , 공업용수 , 지하수 확인
등록일25-09-01
조회수20
공장 운영 시 꼭 필요한 물!!
산업단지 입주 시 필수 검토사항 중 하나인 기반시설 용수
각 용수별로 차이가 있고 산업별로 사용되는 용수가 있습니다 ( 각 정수과정에 맞게 챙기세요 )
1. 생활용수 (Drinking & Domestic Water)
정의: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 음용, 조리, 세면, 세탁, 청소 등 보건·위생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공급 방식
지방상수도나 광역상수도에서 취수 → 정수장(침전, 여과, 소독) → 배관망 공급
「먹는물관리법」에 따른 엄격한 수질기준(총 60여 항목, 세균·중금속·농약·유기화합물 등)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징
미네랄이 일정 수준 포함되어 있어 인체 생리에 적합.
수질 안정성이 최우선. 예: 칼슘, 마그네슘 등이 함유되어 있어 **경도(硬度)**를 형성.
2. 공업용수 (Industrial Water)
정의: 산업 활동(냉각, 세정, 원료 혼합, 보일러 운전 등)에 필요한 물.
공급 방식
수자원공사(K-water)나 지자체에서 전용 관로로 공급하거나, 하천수·댐 용수 활용.
특정 산업단지는 전용 공업용수 처리시설을 갖추기도 함.
특징
인체 음용 기준을 충족할 필요가 없으며, 공정별로 요구되는 수질 수준만 충족하면 됨.
석유화학, 제철은 대량 냉각수(톤 단위), 제약·식품은 위생 수준을 고려한 고도 처리수 필요.
상대적으로 대량·저가 공급이 특징.
3. 지하수 (Groundwater)
정의: 빗물·지표수가 토양과 암석을 통과하면서 지하에 저장된 물.
활용 분야: 농업용수, 일부 공업용수, 지방 소규모 생활용수 공급.
특징
지역 지질에 따라 수질 편차가 큼. (예: 석회암 지대 → 경도가 높은 물, 화강암 지대 → 상대적으로 연수)
장점: 대체수원으로 활용 가능, 안정적 공급.
단점: 남용 시 지하수위 저하, 지반 침하, 염수화(특히 연안지역) 발생.
법적 관리: 「지하수법」에 따라 개발·이용 허가 필요.
4. 정제수 / 초순수 (Purified & Ultrapure Water, UPW)
정의: 일반적인 정수 수준을 넘어서, 불순물을 극도로 제거한 물.
종류와 단계
정제수 (Purified Water): 역삼투압(RO), 이온교환수지 등으로 미네랄·불순물 제거. 제약, 화장품 원료수로 사용.
초순수 (Ultrapure Water, UPW):
전기전도도 기준 0.1 μS/cm 이하(거의 전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까운 물).
용존이온, 미네랄, 미생물, TOC(총유기탄소), 입자까지 모두 제거.
반도체·디스플레이·제약·원자력 등 고도 기술산업에 필수.
특징:
사람이 마시면 삼투압 불균형으로 설사, 전해질 불균형 유발 가능 → 인체 음용 부적합.
반도체 제조에서는 웨이퍼 세정 시 원자 단위 불순물까지 문제되기 때문에 초순수가 필수.
생산 비용이 매우 높음(산업단지 내 대형 초순수 설비 구축 필요).
✅ 핵심 비교 요약
생활용수: 인체 음용, 위생 중심. 미네랄 포함.
공업용수: 대량 공급, 인체 음용 불가, 산업별 수질 기준 충족.
지하수: 대체 수원, 지역 의존적, 과다 이용 시 환경 리스크.
정제수/초순수: 불순물 거의 0, 특정 산업 전용. 인체에는 부적합.
???? 즉, 같은 “물”이라도 목적과 처리 방식에 따라 생명 유지용 → 산업 활동용 → 첨단 기술용으로 완전히 다른 속성과 관리체계를 갖습니다. 특히 초순수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 인프라이자, 국가 첨단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산업단지 입주 시 필수 검토사항 중 하나인 기반시설 용수
각 용수별로 차이가 있고 산업별로 사용되는 용수가 있습니다 ( 각 정수과정에 맞게 챙기세요 )
1. 생활용수 (Drinking & Domestic Water)
정의: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 음용, 조리, 세면, 세탁, 청소 등 보건·위생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공급 방식
지방상수도나 광역상수도에서 취수 → 정수장(침전, 여과, 소독) → 배관망 공급
「먹는물관리법」에 따른 엄격한 수질기준(총 60여 항목, 세균·중금속·농약·유기화합물 등)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징
미네랄이 일정 수준 포함되어 있어 인체 생리에 적합.
수질 안정성이 최우선. 예: 칼슘, 마그네슘 등이 함유되어 있어 **경도(硬度)**를 형성.
2. 공업용수 (Industrial Water)
정의: 산업 활동(냉각, 세정, 원료 혼합, 보일러 운전 등)에 필요한 물.
공급 방식
수자원공사(K-water)나 지자체에서 전용 관로로 공급하거나, 하천수·댐 용수 활용.
특정 산업단지는 전용 공업용수 처리시설을 갖추기도 함.
특징
인체 음용 기준을 충족할 필요가 없으며, 공정별로 요구되는 수질 수준만 충족하면 됨.
석유화학, 제철은 대량 냉각수(톤 단위), 제약·식품은 위생 수준을 고려한 고도 처리수 필요.
상대적으로 대량·저가 공급이 특징.
3. 지하수 (Groundwater)
정의: 빗물·지표수가 토양과 암석을 통과하면서 지하에 저장된 물.
활용 분야: 농업용수, 일부 공업용수, 지방 소규모 생활용수 공급.
특징
지역 지질에 따라 수질 편차가 큼. (예: 석회암 지대 → 경도가 높은 물, 화강암 지대 → 상대적으로 연수)
장점: 대체수원으로 활용 가능, 안정적 공급.
단점: 남용 시 지하수위 저하, 지반 침하, 염수화(특히 연안지역) 발생.
법적 관리: 「지하수법」에 따라 개발·이용 허가 필요.
4. 정제수 / 초순수 (Purified & Ultrapure Water, UPW)
정의: 일반적인 정수 수준을 넘어서, 불순물을 극도로 제거한 물.
종류와 단계
정제수 (Purified Water): 역삼투압(RO), 이온교환수지 등으로 미네랄·불순물 제거. 제약, 화장품 원료수로 사용.
초순수 (Ultrapure Water, UPW):
전기전도도 기준 0.1 μS/cm 이하(거의 전기 저항이 무한대에 가까운 물).
용존이온, 미네랄, 미생물, TOC(총유기탄소), 입자까지 모두 제거.
반도체·디스플레이·제약·원자력 등 고도 기술산업에 필수.
특징:
사람이 마시면 삼투압 불균형으로 설사, 전해질 불균형 유발 가능 → 인체 음용 부적합.
반도체 제조에서는 웨이퍼 세정 시 원자 단위 불순물까지 문제되기 때문에 초순수가 필수.
생산 비용이 매우 높음(산업단지 내 대형 초순수 설비 구축 필요).
✅ 핵심 비교 요약
생활용수: 인체 음용, 위생 중심. 미네랄 포함.
공업용수: 대량 공급, 인체 음용 불가, 산업별 수질 기준 충족.
지하수: 대체 수원, 지역 의존적, 과다 이용 시 환경 리스크.
정제수/초순수: 불순물 거의 0, 특정 산업 전용. 인체에는 부적합.
???? 즉, 같은 “물”이라도 목적과 처리 방식에 따라 생명 유지용 → 산업 활동용 → 첨단 기술용으로 완전히 다른 속성과 관리체계를 갖습니다. 특히 초순수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 인프라이자, 국가 첨단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라 할 수 있습니다


